Korean Movie and TV drama Review Magazine

‘South Bound’, What Makes Us Human

Comments Off

K-162

More...Movie Information

Title : South Bound (Namjjogeuro Tur)
Director : Yim Soon-rye
Writer: Lee Gye-byeok, Choi Moon-seok , Na Hyun , Kim Yun-seok (screenplay), Okuda Hideo(novel)
Stars : Kim Yun-seok (Choi Hae-gab), Oh Yeon-soo (Ahn Bong-hee), Kim Sung-kyun (Bong Man-duk)
Production Co : Studios Geomi
Release Date : 2013.2
Storyline : He do not anything more, what he does not want. He say what he want to. He’s name is Choi Hae-gab. He leaving for the south island with his family, because he believing that he is getting along well though live a little bit differently. However, his peaceful life did not last long, and he meet with a unexpected accident which shook the island.
Movie Brochure : ‘South Bound’ . . . . click to here more photos


Review:

I laughed the movie for a long time. Hmnm… I did not laughed as my head off. In retrospect, in spite of not funny scene, I still laugh at what hero Choi Hae-gab acts. And it was a little amused that his trouble maker family was not-so-ordinary behavior. It was not laugh what idiots make like ‘Dumb & Dumber’(1994). And it was not laugh in sympathy. It was a wry laugh.

Where does laughter come from? It was prosaic issue question, however, laughter comes from the humane qualities. What we can stipulate that human? I trying to think about what some human-like through him. What on earth make us human?

First, think about ideal. Anyone come to know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when they are growing old and earn money. Especially, if they married, they live in hope that their children would do well, no matter how their ideals. Usually, they find themselves who make money without even afford to that think. However, hero Choi Hae-gab differ from other people in this respect. In the poor village, he did not abandon his ideal even though he was no better than an out-and-out libertine. Movie just vaguely described him who was like an anarchist, and movie does not inform exactly you his ideal or his utopia. Though I didn’t read the original novel, I think that movie was vaguely expressed by director who does not want interpret the movie in politically.

Secondly, think about failure. The hero’s life seems to be so far away from success. He has kept his ideals, but he lives in incompetent person (who do not making money). His wife was operating teahouse that was neither fish nor fowl in the poor village. His daughter left high school in mid-course and she attended fashion-design school. He was shooting an independent film, but it was so boring the audience enough to go out in the middle of the projection. He just received these failures with unconcern. He was once rebellious. However, he knows himself who is really a lightweight without under observation NIS(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 such as CIA in Korea). The hero is trying to remain aloof from his poverty and failure, but the situations are not so simple. He visited island to escape the state intervention, but the situations does not leave him alone. Anyway his life was a failure, and also his plans seemed to be failed in island. I felt quite bitter about process and ending of idealist. It seems to resemble a part of my life. So the self-deprecation laughter brought a stabbing pain to my heart. However, I thought that human become mature and get next to himself through these failure.

Thirdly, what are called a family. The hero seems that he did not anything more what he does not want, and he say what he want to. However, it was find out more, it was only possible because his wife was strong advocate for him. I am not talking about what his wife feed a family economically. His wife with a background in political activism supported his ideal. He has been to keep doing what his wife’s favorite and respectable. Of course his sons regarded him as a eccentric, but his sons did not blame him. In other words, he was not inhuman person who made a sacrifice of his family to keep his ideal. At a police station, he took the oath that he does not make an independent film to disgrace on his home country any more. It was probably he decided the real reason why the police gave him bad hint — The police will do bad things to his family –. It is probably he with a wacky personality was able to live in a society, is because his family. The state is unnecessary existence for him, but family is not so. Conversely, He is unnecessary existence for the state, but Choi Hae-gab is necessary existence for his family.

The ‘failure’ is chosen for the movie’s best thesis. So I cannot hate him who just left the island after many things progressed. The movie have a sneer at the such reality of each man who get to know ‘Justice does not always prevail’. Now, as an adult, we should once more humbly accept that failure of our lives. Of course, It does not mean regret.

PS: On February 25, Park Geun-hye became the 18th president of Korea. And Rhyu Si-min a former lawmaker who has been involved in the promotion of this film retire from political life at last week. Of course, Rhyu Si-min was not a representative of the progressive camp, and also he was not a candidate at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s. At one time, He was only the icon of our times, and he was a symbol of reform. Now, the strongman’s daughter became president, and candidate who came from a human rights lawyer was defeated in the presidential race, and the symbol of reform retire from political life. It is reality of Korea. “Failure” is a word that tugged at our heartstrings today.

Cinematic Quality: 8 Stars
Entertainment Value : 7.5 Stars

 

영화정보 더보기

제목 : 남쪽으로 튀어
감독 : 임순례
각본 : 이계벽,최문석,나현,김윤석(시나리오), 오쿠다 히데오(원작)
출연 : 김윤식(최해갑), 오연수(안봉희), 김성균(봉만덕)
제작사 : 영화사거미
개봉년도 : 2013.2
주요줄거리 : 못 마땅한 건 안하고, 할 말은 하며 살고 싶은 최해갑과 가족들. 너무 애쓰지 않아도, 남들과 달라도 잘 살수 있다고 믿는 그들은 행복을 찾아 남쪽 섬으로 떠난다. 그러나 평화로운 생활도 잠시, 섬을 뒤흔드는 뜻밖의 사건에 부딪히게 되는데…

영화 팜플렛 : ‘South Bound’ . . . . click to here more photos


리뷰:

간만에 영화관에서 웃었다. 흠. 포복절도하는 웃음은 아니었다. 생각해 보면 별로 웃긴 장면도 아닌데 남자주인공 최해갑이 하는 짓을 보고 있자니 계속 웃음이 나왔다. 그리고 그의 사고뭉치 가족들의 평범하지 못한 행동들도 조금 웃겼다. 덤앤더머처럼 바보들이 웃기는 것도 아닌, 무언가 공감해서 나오는 웃음이 아닌… 그것은 조금은 씁쓸한 웃음들 이었다.

웃음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조금 식상한 질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언급하자면, 웃음은 인간적인 것에서 비롯된다. 무엇을 인간적인 것이라고 규정지을 수 있을까. 그를 통해서 몇가지 인간답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한다. 도대체 우리를 인간답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첫째로 이상을 들 수 있다. 누구나 나이가 들고 사회에서 돈을 벌게 되면 이상과 현실의 갭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된다. 특히나 결혼을 하게 된다면 자신의 이상이 어떻게 되든 자식이라도 잘 커가기 바라는 마음으로 살게된다. 보통은 이상이고 뭐고 생각할 틈도 없이 돈을 벌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그러나 주인공 최해갑은 이점부터가 남과 다르다. 가난한 산동네에서 백수나 다름 없는 생활을 하면서도 자신의 이상을 버리지 않는다. 영화는 그를 무정부주의자처럼 모호하게 묘사하고 있을 뿐 그의 이상 혹은 이상향이 뭔지는 정확히 알려주지 않는다. 원작을 읽지 못했지만 이 영화를 정치적으로 해석하고 싶지 않았던 감독이 일부러 모호하게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로 실패를 들 수 있다. 주인공의 인생은 성공과 거리가 멀어 보인다. 그는 이상을 지켰는지 모르지만 무능력한 (돈을 벌지 못하는) 사람으로 살아가게 되었고, 아내는 산동네에서 분식집인지 찻집인지 정체 모를 가게를 운영한다. 딸은 고등학교도 중퇴를 하고 복장학원에 다닌다. 주인공도 독립영화를 찍지만 너무 지루해서 관객조차 나갈 정도다. 그는 이런 실패를 인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저 덤덤히 받아들인다. 불순분자로 찍힌 그를 감시하기 위해서 국정원에서 사람이 따라다니는 것조차 필요 없는 진짜 별볼일 없는 사람인 것을 스스로 안다. 주인공은 경제적인 궁핍과 자신의 실패에서 초연해 지려고 노력하지만 진행되는 상황은 그리 간단치가 않다. 국가의 간섭을 벗어나기 위해 찾아간 작은 섬도 그를 편하게 살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 어쨌거나 그는 인생도 실패했고, 그 섬에서의 계획도 성공하지 못하는 듯이 보인다. 이상주의자의 과정과 결말에 씁쓸하다. 마치 내 인생의 한 부분을 닮은 듯하여. 그래서 자조하는 듯한 웃음이 폐부를 찌른다. 하지만 인간은 이런 실패를 통해서 자신에 대해서 깨닫고 성숙하는 게 아닐까.

셋째로 가족이라는 이름이다. 최해갑은 싫은 건 안하고 하고 싶은 말 다 하고 산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아내라는 든든한 조력자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들이다. 경제적으로 아내가 가족을 부양한 것을 말하는 게 아니다. 같은 운동권출신인 아내는 그의 이상을 지지해주었다. 그는 아내가 좋아하고 존경할만한 일을 계속 해왔다. 물론 자식들이 그를 별종으로 취급했지만 그를 비난하지는 않았다. 즉 그는 자신의 이상을 위해서 가족을 희생한 비인간적인 사람이 아니었다. 영화중간을 보면, 국회의원 테러(?)사건으로 인해서 그는 국가이름에 먹칠하는 영화를 찍지 않겠다는 서약을 하고 경찰서를 나선다. 그런 결심을 한 이유는 아마도 경찰이 가족에게 불이익이 갈 것을 암시했기 때문이다. 괴팍한 그가 사회속에서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은 아마 가족 때문이었으리라. 그에게 국가는 필요 없는 존재였을지 몰라도 가족은 그렇지 않았다. 반대로 말해서, 국가에게 그는 불필요한 존재였지만 가족에게 최해갑은 꼭 필요한 남자였다.

이 세가지 명제중에서 이 영화가 선택한 가장 훌륭한 명제는 ‘실패’다. 그래서 이것저것 잔뜩 판을 벌여놓고도 수습하지 못하고 또 다른 섬으로 떠나는 최해갑이 밉지가 않다. 영화는 ‘정의가 반드시 이기는 것은 아니다’란 것을 자연스레 알게된 관객 한 사람 한사람의 씁쓸한 현실에 같이 자조한다. 성인이 된 우리는 이제 한 번 더 우리 인생의 실패를 겸손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물론 그것이 후회를 의미하지 않는다.

추신: 2월25일에 박근혜씨가 한국의 대통령으로 새로 취임했다. 그리고 이 영화홍보를 같이했던 유시민씨는 지난주에 정치계에서 은퇴했다. 물론 유시민씨가 진보를 대표하는 인물도 아니고, 지난 대통령선거의 후보도 아니었다. 그저 그는 한때, 시대의 아이콘이였고 개혁의 상징이었다. 독재자의 딸은 대통령이 되었고, 인권변호사 출신의 후보자는 낙선하고 정치적으로 공세를 받고있고, 개혁의 상징이었던 사람은 정계에서 은퇴했다. 이게 한국의 현실이다. 실패. 오늘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한마디 단어다.

Writing By Audrey park (audrey@moviescramble.com)


Recent Category Posts

Comments are closed.